Introduction
양구소개
본래 양구현(楊口縣)의 소재지이므로, 현내면(縣內面)이라 하다가 고종 32년(1895)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양구현이 군으로 됨에 따라, 군내면(郡內面)이 되어 상리(上里), 중리(中里), 하리(下里), 함춘(含春), 동수(東水), 고대(高垈), 대동(大同), 한전(閑田), 죽곡(竹谷), 송청(松淸), 정림(井林)의 10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서면(西面)의 안대(安垈), 이동(泥洞), 학조(鶴鳥), 공동(恭洞), 석현(石峴), 웅진(雄津), 용호(龍湖), 수인(水仁)의 8개 리를 병합하여 다시 군내면이라 하여 19개 리로 개편하고, 1917년 군의 이름을 따서 양구면으로 고쳤다.
1945년 38도선이 생김에 따라, 공산치하에 들어갔다가, 1950년에 수복되고, 1962년 11월 21일에 북면(北面)의 공수(公須), 도사(都沙), 군량(軍糧), 월명(月明), 상무룡(上舞龍)의 5개 리를 편입하여 현재 중리, 상리, 송청, 수인, 웅진, 석현, 학조, 안대, 한전, 공리, 이리, 정림, 죽곡, 하리, 고대, 동수, 월명, 도사, 공수, 군량, 상무룡의 21개 리가 되었다.
동쪽은 동면과 국토정중앙면, 남쪽은 춘천시 북산면, 서쪽은 화천군 간동면, 북쪽은 방산면에 닿아 있다.
| 면 적 (㎢) | 행정리 | 법정리 | 반 |
|---|---|---|---|
| 173.74 | 39 | 21 | 188 |
| 기관명 | 주 소 | 전화번호 |
|---|---|---|
| 양구군청 | 양구읍 관공서로 38 | 481-2191 |
| 양구군의회 | 양구읍 관공서로 38 | 480-2931 |
| 양구경찰서 | 양구읍 양남로 1 | 482-0112 |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교육지원청 | 양구읍 관공서로 32 | 480-1450 |
| 춘천지방법원 양구등기소 | 양구읍 관공서로 30 | 481-0999 |
| 농협중앙회 양구군지부 | 양구읍 양록길 47 | 481-2080 |
| 양구우체국 | 양구읍 관공서로 26 | 국번없이 1300 |
| 양구 선거관리위원회 | 양구읍 금송로 28 | 481-2271 |
| KT 양구지점 | 양구읍 관공서로 29 | 481-0200 |
| 국민건강보험공단 양구지사 | 양구읍 관공서로 14 | 481-1297 |
| 양구소방서 | 양구읍 중심로 92 | 480-4119 |
| 농업기술센터 | 양구읍 관공서로38번길 15 | 480-7613 |
| 양구군 보건소 | 양구읍 관공서로 14 | 481-2400 |
| KT&G 양구지점 | 양구읍 관공서로 29 | 482-0399 |
| 대한지적공사 양구출장소 | 양구읍 비봉로 73번길 7-4 | 481-2517 |
| 북부지방산림관리청 양구국유림관리소 | 양구읍 학안로 187 | 480-1242 |
| 한국전력공사 양구지점 | 양구읍 비봉로73번길 15 | 481-3111 |
| 양구읍 사무소 | 양구읍 관공서로 18 | 480-4610 |
| 양구군 산림조합 | 양구읍 사명길 113 | 481-9031 |
| 양구 축산업협동조합 | 양구읍 중앙길 33 | 481-5601 |
| 양구 농업협동조합 | 양구읍 사명길 26 | 481-2086 |
| 대한법률구조공단 양구지소 | 양구읍 관공서로 14(구 보건소) | 482-1320 |
1895년(고종32년)에 2개면(하남면, 하동면)이었으나, 1914년 3월 지방행정구역의 대폭 개편으로 하남면과 하동면이 병합되어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으로 공산치하에 강점되었다가 1950년 6월 25일 남침으로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성립될 때까지 격전지가 되었다.
1954년 4월 1일 수복주민이 정착하게 되면서 군정을 실시하여 오다가 같은해 11월 17일 수복지구 행정권 이양으로 민정을 실시하면서 16개리를 관할하였으나, 1971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대통령령 제6425)으로 상, 하수내리가 인제군으로 편입되고 인제군 두무리가 남면으로 편입되면서 16개리가 21개리로 개편되었다.
2021년 1월 1일 남면에서 국토정중앙면으로 명칭변경되었다.
| 면 적 (㎢) | 행정리 | 법정리 | 반 |
|---|---|---|---|
| 135.33 | 22 | 15 | 68 |
| 기관명 | 주 소 | 전화번호 |
|---|---|---|
| 국토정중앙면사무소 | 국토정중앙면 삼팔선로 9 | 480-4710 |
| 양구경찰서 국토정중앙면파출소 | 국토정중앙면 삼팔선로 10-3 | 482-4113 |
| 양구국토정중앙우체국 | 국토정중앙면 정중앙로 612 | 481-4001 |
| 국토정중앙119지역대 | 국토정중앙면 삼팔선로 17-1 | 481-1119 |
| 국토정중앙면보건지소 | 국토정중앙면 삼팔선로 17 | 480-2771 |
| 양구군농협 국토정중앙지점 | 국토정중앙면 정중앙로 629 | 481-4051 |
본래 양구군의 동쪽위에 위치하였다 하여 상동면(上東面)이라 이름하였으며, 임당(林塘), 원당(元塘), 후곡(後谷), 지석(支石), 덕곡(德谷), 팔랑(八郞), 월운(月雲), 비아(比雅), 사태(沙汰)등 9개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면으로 개칭하였다.
그 후 1978년 7월 1일부로 해안면을 동면으로 흡수 관리하다 1983년 2월 15일자로 해안면으로 승격 분리되어 현재 후곡리, 지석1.2리, 원당리, 덕곡1.2리, 임당1.2리, 월운리, 팔랑1.2리등 11개리를 관할하고 있다.
| 면 적 (㎢) | 행정리 | 법정리 | 반 |
|---|---|---|---|
| 128.69 | 11 | 9 | 42 |
| 기관명 | 주 소 | 전화번호 |
|---|---|---|
| 동면사무소 | 동면 금강산로 1693 | 480-4810 |
| 양구경찰서 동면파출소 | 동면 금강산로 1685 | 482-7112 |
| 임당우체국 | 동면 금강산로 1695 | 481-0001 |
| 동면119지역대 | 동면 금강산로 1689-5 | 481-0119 |
| 동면보건지소 | 동면 금강산로 1697 | 480-2772 |
| 양구농협 동면지점 | 동면 금강산로 1696 | 481-8094 |
| 동면새마을금고(덕곡) | 동면 금강산로 1546-4 | 481-0044 |
| 팔랑리 보건진료소 | 동면 펀치볼로 43 | 480-2776 |
본래 고구려의 삼현현(三峴縣) 또는 밀파혜(密波兮)의 지역인데 신라경덕왕 16년(757)에 삼령현(三嶺縣)으로 고쳐서 양록군(楊麓郡)의 속현이 되고 고려때 방산현(方山縣)으로 고쳐 회양군(淮陽郡)에 딸렸다가 조선 세종6년(1424)에 다시 방원으로 재차 개칭하여 양구군(楊口郡)속하고 구후현을 없애고 방산면(方山面)이 되어 장평(長坪), 칠전(漆田), 현리(縣里), 금악(金岳), 오미(五味), 천미(天尾), 송현(松峴), 고방산(古方山), 건솔(乾率)의 9개리를 관할하였다.
1945년~1950년에 이르기까지 공산치하에 강점되어 통치를 받았으나 6.25때 탈환하여 1954년 3월부터 군정을 실시하다 1954년 11월 17일 행정권을 이야받아 6개리 31반이였으나 1971년 송현리가 1.2로 나누워 지면서 7개리 31개반으로 개편되었다.
| 면 적 (㎢) | 행정리 | 법정리 | 반 |
|---|---|---|---|
| 207.06 | 7 | 9 | 31 |
| 기관명 | 주 소 | 전화번호 |
|---|---|---|
| 방산면사무소 | 방산면 장거리길 21 | 480-4860 |
| 양구경찰서 방산 파출소 | 방산면 평화로 5192 | 481-5112 |
| 방산우체국 | 방산면 평화로 5141 | 481-5001 |
| 방산119지역대 | 방산면 장거리길 36 | 481-5119 |
| 방산면보건지소 | 방산면 장거리길 37 | 480-2773 |
| 양구농협 방산지점 | 방산면 장거리길 13 | 481-8151 |
해안은 돼지해(亥)자 편안할 안(安)에 얽힌 이야기가 전하여 지고 있다. 그 당시 해안은 해자를 바다해(海)를 썼으며 해안 분지에는 주민들이 밖에 나가지 못할 정도로 뱀이 많았다고 한다. 조선시대초에 해안주민이 시제를 지내면서 유명하신 스님 한분을 모시게 되었는데 그 스님에게 지역사정을 소상히 말하고 뱀을 없앨 방도를 구하니 그 스님이 뱀과는 상극인 돼지를 말하며 바다해(海)자를 돼지해(亥)자로 바꾸어 쓰면 되겠다고 일러주었다고 한다.
그 다음부터 해안을 돼지해(亥)자로 고치고 마을에는 돼지를 많이 기르게 되었으며 그 후 신기하게도 뱀이 없어져서 주민들이 집밖 출입을 자유롭게 하게 되었다고 전하여지며 이런 이야기로 볼 때 전혀 사실 무근은 아닌 것 같으며 현재도 해안지역에는 높은 산을 제하고는 평지에 뱀이 거의 없다고 한다.
또한 "돼지해"자를 쓰기 이전에 "바다해"자를 쓰게 된 동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최근 해안을 조사하면서 선사시대 유물과 산중턱에서 조개껍질이 발견 된 적이 있다. 이것은 해안면 분지 전체가 넓은 호수가 아니었나 생각 된다. 조개껍질은 바다가 먼 동해안으로부터 조갤 가져 왔으리라고는 상상하기 어렵고 해안분지가 호수였을 때 민물조개가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그렇기 때문에 "돼지해(亥)"자를 쓰기 이전에 넓은 호수를 연상하여 "바다해(海)"자를 썼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해안에는 8봉(여덟봉우리)가 있어서 여덟봉우리중 아무곳이나 올라가 해안을 내려다보면 7개 봉우리가 한눈에 들어오며 면전체가 눈 밑에 있어 면전체가 한마을 같다고 했다.
| 면 적 (㎢) | 행정리 | 법정리 | 반 |
|---|---|---|---|
| 61.75 | 6 | 6 | 20 |
| 기관명 | 주 소 | 전화번호 |
|---|---|---|
| 해안면사무소 | 해안면 펀치볼로 1307 | 480-4910 |
| 양구경찰서 해안파출소 | 해안면 펀치볼로 1313 | 481-0712 |
| 해안우체국 | 해안면 펀치볼로 1304-9 | 481-0601 |
| 해안면119지역대 | 해안면 펀치볼로 1312 | 481-6119 |
| 해안보건지소 | 해안면 펀치볼로 1357-6 | 480-2774 |